
이제 자동제어 실전풀이도 막바지로 가고 있네요. 오늘은 상태공간모델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볼 텐데, 중간에 넘어간 Root Locus와 Bode Plot, PID 제어기, 진상/보상제어기의 경우에는 정석적인 풀이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따로 다루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.
주파수응답에 이어서 상태공간모델 역시 처음 배울 때에 이해하기 이해하기 어려운 것 중 하나입니다. 하지만 상태공간모델은 행렬을 사용하여 2차 제어모델을 간단히 나타내고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, 실제 시험에서도 꾸준히 몇 문제씩 출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풀이법을 잘 익혀야 할 것입니다. 일반적으로 행렬 A,B,C,D가 주어졌을 대 이를 전달함수로 변환시키기 위해 다음 식이 사용됩니다.

하지만 위 식은 최소 2x2행렬을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. 그러나 실제 문제에서는 이를 직접 행렬로 계산하지 않고도 선지에서 답을 골라낼 수 있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. 그 원리를 설명드리겠습니다.
어떤 전달함수의 계수가 상태공간모델의 형태로 나타냈을 때 어떻게 나타나는 지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고 하겠습니다.

위와 같은 전달함수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. (s³+as²+bs+c=(s+α)(s+β)(s+γ)인 상황) 같은 전달함수일지라도, 그것을 상태공간모델(행렬 형태)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에는 무한히 많은 경우의 수가 있습니다. 그 중에서도 나타내기 쉬운 여섯 가지 형태를 꼽을 수 있는데, 다음과 같습니다.

이렇게 나타나는 이유는 전달함수의 분해(직접분해, 종속분해, 병렬분해 등)에 관한 내용을 찾아보시면 그 유도 과정이 나올 것입니다. 하지만 문제풀이에는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. 또 아직 출제되지 않은 유형이긴 하지만, 조던(Jordan) 표준형이라는 형태도 존재합니다.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.


위와 같이 고윳값(-α, -β 또는 λ1, λ2로 나타냄)을 대각선 방향으로 계속 나타내었으며, 그 사이에 1이 존재하는 경우 그림과 같이 조던 블록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. 이는 중근을 나타내는 것입니다. 그냥 이런 것이 있구나 하는 정도로 알고 계시면 됩니다. 그렇다면 이제 기출문제를 풀어 보겠습니다.

여기서 전달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.(전달함수 구하는 방법은 【자동제어】"계산 없이" 전달함수 구하는 방법 - 2를 참조하세요)

선지를 보시면, 위 전달함수를 제어기표준형으로 바꾸었을 때 ③번과 같이 나타남을 알 수 있습니다. ①번의 경우 가제어표준형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, -21과 -10의 위치가 바뀌어야 합니다. ②,④번의 경우 가관측표준형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역시 -21과 -10의 위치가 바뀌어야 합니다.

위 G(s)의 경우 특이하게 분자의 차수와 분모의 차수가 동일합니다. 이런 경우 분자의 이차항(s²)을 다음과 같이 상수꼴로 분리해 주어야 합니다.

이렇게 분리된 상수(3)은 a₃의 값이 됩니다. 왜냐하면 G(s)=Y(s)/U(s)인데 y=...+a₃×u로 나타나므로 그렇습니다. 그리고 문제에 주어진 행렬 A를 보면 가관측표준형으로 나타낸 형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. 따라서 a₁=21, a₂=-11이 나옵니다. a₁+a₂+a₃의 값은 21+(-11)+3=13으로 답은 3번입니다. 다음 문제는 3x3 행렬의 경우인데, 이 경우 계산하는 데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게 됩니다. 하지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빠르게 풀 수 있습니다.

블록선도를 보면

이므로

로 쓸 수 있습니다. 선지 ①②의 A행렬을 보면 대각선표준형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, 대각선표준형의 경우 B와 C행렬에서 0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 따라서 틀린 선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. 선지 ③과 ④를 보면 A행렬은 같고 B행렬과 C행렬만 살짝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이 때 문제의 블록선도에서 제일 왼쪽에 있는 U(s)와 X₃(s)의 관계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
이것을 라플라스역변환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.

③번과 ④번에서 A행렬의 세 번째 행을 보면, [0 0 3]이고 B행렬의 경우 세 번째 행의 값이 ③에서는 k, ④에서는 1이 나옵니다. 위 라플라스역변환 식에서 u에 k가 곱해져야 하고, 행렬 B에 입력 U(s)가 곱해져 계산되므로 답은 3번임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. 즉 이 문제는 블록선도로부터 선지 소거를 통해 충분히 답을 골라낼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!

<보기>에 주어진 형태는 가제어표준형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. 특성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먼저 ①번의 경우 가관측표준형의 꼴이며 ④번의 경우 어떤 형태도 아닙니다. 문제에서 대각선표준형으로 구하라고 했으므로 답에서 제외합니다. 대각선표준형의 경우 대각선에 고윳값(특성방정식 q(s)=0의 해)이 차례로 놓여야 하는데, ③번의 경우에는 특성방정식의 계수가 차례로 놓여져 있습니다. 따라서 틀린 선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. ②번의 경우 다음과 같이 식을 전개하여 답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따라서 답은 4번입니다.
'실전풀이&예상문제 > [자동제어 실전풀이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【자동제어】Nichols Chart의 해석 (0) | 2022.02.06 |
---|---|
【자동제어】비선형의 선형화 (0) | 2022.02.05 |
【자동제어】Nyquist Plot - 안정성 판별 및 특정값 구하기 (2) (0) | 2022.01.29 |
【자동제어】Nyquist Plot - 안정성 판별 및 특정값 구하기 (1) (1) | 2022.01.28 |
【자동제어】Nyquist Plot - 전달함수 선지 소거법 (1) | 2022.01.27 |
댓글